[그래픽 뉴스] 저출산 대책<br /><br />OECD 회원국 중 유일하게 출산율이 1명 미만인 초저출산 국가, 바로 우리나라인데요.<br /><br />정부가 이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팔을 걷어붙였습니다.<br /><br />오늘의 그래픽 뉴스, 저출산 대책입니다.<br /><br />통계청 신혼부부 통계에 따르면 결혼한 지 5년이 안 된 신혼부부 가운데 자녀를 두지 않은 비율이 18.3%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신혼부부 5쌍 중 1쌍은 무자녀 가구인 건데 이는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역대 최대 기록입니다.<br /><br />자연 인구감소, 이 급한 불을 끄기 위해 정부는 다양한 저출산 대책들을 내놨는데요.<br /><br />2022년부터 시행될 대책들 중, 먼저 저출산 문제 해법 중의 하나로 임신 출산 전후 양육 부담을 줄이기 위해 영아수당을 새로 도입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현재 만 7세 미만에게 지급되는 아동수당과는 별개의 수당으로 만 한 살 미만의 모든 영아에게 1명당 30만 원에서 시작해 2025년에는 50만 원까지 인상됩니다.<br /><br />임신부가 사용할 수 있는 국민행복카드의 한도도 60만 원에서 100만 원으로 늘어나고, 아이를 낳으면 정부가 200만 원을 지급하는 '첫만남 꾸러미' 제도가 도입됩니다.<br /><br />일과 육아를 함께 부담하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육아휴직 제도도 손을 봅니다.<br /><br />역시 2022년부터, 생후 12개월 내 자녀가 있는 부모가 3개월의 육아휴직을 사용하면 엄마와 아빠에게 각각 월 최대 300만 원까지 지원합니다.<br /><br />아이 한 명을 낳았을 때 최대 150만 원까지 지원하던 육아휴직 지원금 규모를 2배로 확대한 겁니다.<br /><br />또 현행 여성, 대기업 근로자 위주의 육아휴직을 남성, 중소기업근로자와 비정규직까지 쓸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다자녀가구에 대한 지원도 강화됩니다.<br /><br />다자녀의 기준을 3자녀에서 2자녀로 변경하는 방안이 추진되고요.<br /><br />오는 2025년까지 다자녀가구 전용 임대주택 2만 7,500호를 공급하고, 공공임대주택 거주 중에 다자녀가구가 되면 한 단계 넓은 평형으로 이주를 원할 때 우선권을 부여합니다.<br /><br />또 2022년부터 저소득 가구, 세 자녀 이상 가구의 셋째자녀 부터 대학등록금을 전액 지원합니다.<br /><br />지난해 우리나라 평균 출생아 숫자는 0.92명. 정부는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선 기업과 지자체, 시민단체 등 모든 사회 구성원이 함께 노력해 근본적 사회 혁신을 이끌어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그래픽 뉴스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